불교의 주요 法數 정리 (1)
( 三 )
(1)
삼계 (三界) : 生死로 윤회하는 중생의 세계를 말함. 貪, 瞋, 癡 삼독의 짙고 얕음에 따라 각기
달리 나타남. 고대 인도사람들은 삼계를 입체적인 공간으로 보았지만 부처님께서는
정신적인 면에 맞춰 중생의 미혹함에 따라 그 인연대로 태어나지만 戒, 定, 慧 삼학을
수행함으로써 그 수행의 깊이에 따라 반드시 해탈을 이룰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합계 36계(천)으로 이뤄져 있으며, 滅盡定을
얻은 성자가 되면 이 삼계를 벗어남 (해탈)
욕계(欲界)
|
三毒이 치성한 저열한 세계. 지옥, 아귀. 축생, 아수라, 인간, 6하늘을 의미함
|
색계(色界)
|
욕계와 같은 탐욕은 없으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을 거부하는 진심(嗔心)과 치심(癡心)이 남아
있는 物的 경계를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세계. 색계의 18하늘
소광천, 무량광천, 광음천
(이선천)
소정천, 무량정천, 변정천
(삼선천)
소엄식천, 무량엄식천, 엄식과실천, 무상천, 무조천, 무열천, 선견천,
대선견천, 색구경천 (사선천)
|
무색계(無色界)
|
탐욕과 진심이 사라져서 물질의 영향은 받지 않지만 ‘나’라는
생각을 버리지 못하는, 즉 癡心이 남아 있는 세계. 무색계의
4하늘
|
(2)
삼독 (三毒) : 중생을 괴롭히는 세가지 번뇌
탐욕(貪慾)
|
탐내는 마음 ---> 戒를 지켜 극복
|
진에(瞋恚)
|
성내는 마음 ---> 禪定으로 극복
|
우치(愚癡)
|
어리석은 마음 --->
智慧를 쌓아 극복
|
(3)
삼법인 (三法印) : 부처님이 연기의 입장에서 인생을 말씀하신 근본교리로써 三法印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불교사상이라고 말할 수 없다 함
제행무상(諸行無常)
|
모든 만물이 생멸하여 恒常한 것은 없다는 것으로 現象界에서 시간적으로 볼 때 무상하다는 것임
|
제법무아(諸法無我)
|
모든 것은 인연 따라 생긴 것으로 現象界에서 공간적으로 볼 때 실체가 없다고 하는 것임 (法에는 진리, 경전 뜻 외에 存在, 事物의
뜻도 있음)
|
일체개고(一切皆苦)
|
삼라만상이 諸行無常하고 諸法無我인 까닭에 순간의 즐거움은 있을 지라도 결국은 모두가 다 괴로운 것이라는 진리임
|
☞ 열반적정(涅槃寂靜) – 업의 원인인 번뇌를 끊고 열반을 증득하는 것이 불교의 최종 목적이며, 불교의
이상세계를 말하는 것임.
(열반적정까지 포함하여 사법인(四法印)이라고도 함)
(4)
삼보 (三寶) : 믿음의 대상으로서 불교신앙의 핵심이 되는 영원한 보배
|
소승 불교
|
대승 불교
|
佛寶
|
깨달은 분, 석가모니 부처님
|
과거, 현재, 미래의 수많은 부처님
|
法寶
|
부처님께서 설하신 근본 교법
|
팔만대장경이라 불리는 많은 경전
|
僧寶
|
부처님의 제자, 출가 스님
|
불교교단의 출가자/재가자 모두를 일컬음
|
(5)
삼보사찰 (三寶寺刹) : 우리나라의 三寶를 대표적인 사찰
佛寶 寺刹
|
통도사
|
양산 영축산. 진신사리
보관
|
法寶 寺刹
|
해인사
|
합천 해인사. 팔만대장경
보관
|
僧寶 寺刹
|
송광사
|
순천 조계산. 많은
큰스님들 배출
|
(6)
삼성론 (三性論) : 유가학파(瑜伽學派)는 우리가 實在라고 생각하는 것에 세 종류가 있다고 봄.
1.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 우리 중생의 성품을 말하는 것인데, 우리
중생은 바로 못 보기 때문에
이것이냐 저것이냐, 일체 만물을
좋다, 궂다, 옳다, 그르다고, 자꾸만
헤아리고 분별한다는 뜻임.
2. 의타기성 (依他起性) - 다른 것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성품이라는 말이며, 타에 의존된 생각인 바
완전하지도
절대적이지도 않다는 뜻임.
3. 원성실성 (圓成實性) - 원만히 성취된 참다운, 실다운 성품이라는 말이며, 육바라밀 보살도 수행
으로 우리의 의식을 청정하게 하고 사물을 있는 그대로 본다는 뜻입니다.
이것이 실존(實存)이고 실상(實相)임.
(7)
삼승 (三乘) : 소승 및 대승 불교 출가 수행자의 분류
성문승(聲聞乘)
|
부처님 곁에서 四聖諦의 설법을 듣고 해탈을 얻는 소승 수행자
|
연각승(緣覺乘)
|
12연기법을 스승 없이 스스로 깨닫는 소승 수행자 (獨覺乘,
僻支佛 이라고도 함)
|
보살승(菩薩乘)
|
육바라밀 수행을 통하여 스스로 해탈하고 남도 해탈케 하는 대승 수행자
|
(8)
삼신불 (三身佛) : 철학적이고 학문적으로 부처님의 속성에 따라 분류
법신불(法身佛)
|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진리 그 자체. 영원한 생명으로서의 부처님
Ø 청정법신 비로자나불
(毘盧遮那佛)
|
보신불(報身佛)
|
인과에 따라 수행한 공덕에 의해서 나타난 부처님
Ø 원만보신 노사나불
(盧舍那佛)
|
화신불(化身佛)
|
역사적으로 나타나서 중생을 제도하신 부처님
Ø 천백억화신 석가모니불 (釋迦牟尼佛)
|
(9)
삼악도(三惡道) : 죄를 지은 결과로 다음 생에 태어나 고통을 받는 곳.
☞ 지옥, 아귀, 축생
(10) 삼업 (三業) : 몸(身), 말(口), 의식(意)으로 짓는 선과 악의 업보(業報)
(11) 삼연자비 (三緣慈悲): 불교에서 세계를 대하는 태도로서 지혜를 바탕으로 하는
자비의 정신을
강조하여 인간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와
무생명체에게까지도
무차별적인 자비를 베푸는 것을 진정한 자비로 가르치고
있다.
자비심을 일으키는 단계에 따라 삼연자비(三緣慈悲)로 구분된다.
- 중생연자비(衆生緣慈悲) : 중생을 다 같이 보고 똑같이 베푸는 자비
- 법연자비 (法緣慈悲) : 만유의 온갖 법이 五蘊으로 구성된 헛것으로 보고 물심의 본체가 空한
줄 알아 번뇌가 없어진 성자가 베푸는 자비
- 무연자비 (無緣慈悲) : 온갖 차별된 견해를 여의고 모든 법의 실상을 아는 부처님만이 있는 자비
(12) 삼장 (三藏) : 불교 경전에 대한 총칭으로서 경전의 내용에 따른 분류
경장(經藏)
|
부처님의 말씀(法問)을 모은 경전과 발자취
|
율장(律藏)
|
부처님께서 제정하신 일상생활에 지켜야 할 규율
|
논장(論藏)
|
경에 말씀하신 뜻을 후대에 와서 풀이하고 논술한 것
|
(13) 삼정육 (三淨肉) : 세존께서 병든 비구에게만 먹을 것을 허락한 고기를 의미하는
말로
재가불자도 지켜야 할 최소한의 계율
- 자기를 위해 죽음을 당하는 것이 목격되지 않고
- 자기를 위해 죽임을 당했다는 말이 들리지 않아야 하며
- 자기를 위해 죽임을 당한 것은 아닌지 하는 의심이 들지 않는 고기
(따라서 고깃간에서 파는 고기나 저절로 죽은 짐승의 고기를
의미합니다)
(14) 삼학 (三學) : 불교 목적인 열반의 세계를 증득키 위해 배워서 행해야
하는 것
계학(戒學)
|
身, 口, 意 삼업을 잘 다스리고 한걸음 나아가서
자비와 지혜로 진실한 복덕과
청정행을 쌓아가게 하는 계율 ---> 계 (戒律)
|
정학(定學)
|
자기의 마음에 맞지 않는 것을 참아서 몸과 마음을 바로 잡고 마음을 고요하고
편안하게 하는 수행
---> 정 (禪定)
|
혜학(慧學)
|
참된 지혜를 수행하여 의혹을 없애고 진실의 세계를 그대로 관찰할 수 있는
마음의 밝음을 얻고자 하는 수행
---> 혜 (智慧)
|
(15) 삼해탈 (三解脫) : 깨달음을 얻은 해탈의
3가지 모습
- 심해탈(心解脫) : 욕망으로 인한 번뇌로부터의 해탈 (해탈향)
- 혜해탈(慧解脫) : 無明으로부터의 해탈 (해탈지견향)
- 구해탈(俱解脫) : 심해탈 + 혜해탈
(16) 삼혜 (三慧) : 깨달음을 얻는 3가지
방법
- 문혜 (文慧) : 보고 듣고 얻는 지혜
- 사혜 (思慧) : 고찰(사유)하여 얻는 지혜
- 수혜 (修慧) : 고찰을 마치고 入定에서 얻는 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