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6일 화요일

불교 주요 용어 안내 (1)



주요 용어 안내 (1)


 
가피(加被) :  불보살의 가호. 보호함.
간화선(看話禪) : 특정한 주제(화두 話頭)를 의심하면서 하는 선수행.  묵조선과 다름.
갈애(渴愛) :  목마른 사람이 물을 찾는 것 같은 불타는 욕망.
감로수(甘露水) :  단 이슬. 부처님의 법으로 모든 사람들의 아픔과 고통을 없이한다.
강원(講院) :  부처님의 가르침(경전)을 공부하는 곳 (승가대학)
개시허망(皆是虛妄) :  일체가 모두 허망(:)하다.
건달바 : 간다르바.  부처님의 설법 시 음악으로 찬탄하는 신
() : 부처님의 가르침.
경계(境界) :  6근으로 접촉할 수 있는 모든 대상.
경구죄(輕垢罪) : 허물이 비교적 가벼운 죄.
경책(警策) :  참선시 감독하는 스님이 들고 다니는 죽비로 졸거나 나태한 수행자를 일깨우는 방법
(경책을 어깨에 댄다 수행자 감사절 3경책3수행자 감사3)
() :  규칙 (일반신도 5, 비구250, 비구니348).   계에는 성죄(性罪)차죄(遮罪)가 있음.
性罪란 그 행위 자체가 이미 본성적으로 죄가 되는 계 (살생, 도둑질, 사음, 거짓말 등)
遮罪란 행위 자체는 죄악이 아니지만 그 행위로 큰 과오를 범할 가능성이 높아 금하는 계 (음주 등)
계금취견(戒禁取見) :  오견 또는 칠견의 하나. 잘못된 도를 고집(固執)하여 그것이 천상(天上)
태어나거나 해탈(解脫)되는 도가 된다고 믿는 그릇된 견해(見解)
계론(戒論) : 오계를 지켜라
계학(戒學) : 악을 저지르지 않고 선을 닦는 계율(戒律)로 삼학(三學)중의 하나
고두래 : (1, 3배 또는 그 이상의 예배)을 마치고 마지막 절에서 아쉬운 마음을 표현하는 절.
고행(苦行) : 육체를 힘들게 하면 정신의 힘은 높아진다고 보는 수행법. 고행에 신비한 힘이 있다고 주장함.
공덕(功德) : 장차 좋은 과보를 얻기 위해 쌓는 선행.
관불식(灌佛式) : 욕불식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오신날 등에 아기부처님을 목욕시키는 행사.
구족(具足) : 모두 갖추어진 것.
군다리보살 :  악을 막아 선을 지키는 관세음보살.
귀의(歸依) :  돌아가 의지함.  (즉 자신의 본래 가지고 있는 불성에로 돌아가는 것.)
금강좌(金剛座) :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을 때 앉았던 자리.
길상초(吉祥草) :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을 때 깔고 앉은 풀.


나무(南無) :  귀의와 같이 믿고 의지 함.
남섬부주(南贍部洲) :  인간세계
녹야원(鹿野苑) : 부처님 최초의 설법성지.
() : ()을 정리하여 해설 후 교리로 정한 것.


다문(多聞) : 세존의 가르침을 풍부하게 많이 들음.
도량(道場) : 수행하는 성스러운 장소. 도량 = 공간  <도장(道場)을 도량으로 발음함>
동사(同事) : 함께 일함(다른 사람 입장에서 생각),  부처님 4섭법 중 하나.
대륜보살 : 법의 큰 수레로 중생을 구제하시는 관세음보살.
도솔천(兜率天) :  선한 행위로 태어나는 천국의 하나.(욕계(欲界) 6(六天) 중의 제4)
독수성(獨修聖) :  독성(獨聖) 혹은 독각(獨覺), 연각(緣覺), 벽지불(僻支佛)이라고도고 하는데, 스승
없이 홀로 12연기의 이치를 깨달은 성인. 작은 부처라고도 함.
두타행(頭陀行) :  두타(dhuta)라 함은 먼지를 털어낸다는 뜻으로, 원리원칙에 철저한 검소함을 의미함
                  10대 제자 중 두타 제일은 마하가섭 존자를 이름


라훌라 : 일식과 월식을 일으키는 신


마하(摩訶) :  위대함. 마하(Maha)
마하가섭 :  부처님 3번째 제자 (부처님 입멸후에 종단을 이끄는 후계자가 됨).   두타 제일
마하살(摩訶薩) :  보살 뒤에 붙이는 겹 존칭어.(보살 중에 뛰어난 수승 보살을 칭함)
만원보살 :  보름달 같으신 관세음보살.
말라식(末那識) :  말라는 의(), 의역하면 사량(思量)이다. 인간의식의 제 7층으로 아뢰야식 바로 전.
머무는 곳이 없다 : 집착이 없다,바라는 것이 없다.
멸진정(滅盡定) : 모든 심상(心想)을 없애고 고요한 상태()에 들기 위해 닦는 최고의 선정()
목어(木魚) : 고기 모양의 나무 통. 물속에 중생을 위하여 두드려 소리를 내게 됨.
목우자(牧牛子) : 소 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고려 시대 보조 국사 지눌 스님의 자호
묘행(妙行) :  아주 미묘한 부처님의 행().
무념(無念) :  미워하는 마음이 없는 것.
무량대복 : 헤아릴 수 없을 만큼 큰 복.(모든 것을 소유한 것이지만 실은 아무것도 가진 게 없다 = 무소유)
무루(無漏) : 번뇌에서 벗어나거나 번뇌가 없음
무아(無我) : 내가 아닌 것[非我]이라는 뜻과, 내가 소유하지 않은 것[無我] 두 가지 뜻이 있다
무상(無常) : 모든 것은 변한다. 쉬지 않고 변화해서 진화해 간다.
무재칠시(無才七施) : 재물이 없이도 할 수 있는 일곱 가지 보시. ☞ 法數 정리 참조 요망.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 누구에게 무엇을 베푼다는 생각 자체를 생각과 마음에서 지워버린 보시.
묵조선(默照禪) : 단지 묵묵히 관조(觀照)하면서 하는 禪修行 .
미진(微塵) : 아주 작은 우주를 구성하는 요소.


바라밀(波羅蜜) : 완성을 의미.
바라이죄(波羅夷罪) : 계율에서 가장 엄격하게 금하는 중죄
반야(般若) : 지혜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蜜多) : 더 이상 위가 없는 지혜. (완성의 지혜)
발우(鉢盂) : 수행자의 음식 그릇
방일(放逸) : 게으름. 마음이 산만해 선행(善行)에 힘쓰지 않는 것. 수행을 게을리 하는 것.
방장(方丈) : 참선을 지도하는 사원의 최고 선사, 또는 그 선사가 머무는 방.
백호(白毫) : 부처님 두 눈썹 사이에 있는 희고 빛나는 가는 털.
범소유상(凡所有相) : 무릇 형상이 있는 모든 것.
() : 불교용어 에는 3가지 의미가 있음.    진리, 경전, 그리고 존재 또는 사물  (無我)
벽지불(僻支佛) : 독각(獨覺)이라고도 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에 의하지 않고 스스로() ()를 깨치고
 홀로 고요와 고독을 즐기므로, 설법교화를 하지 않는 나름의 성자다. 성문과 더불어
이승(二乘)의 하나, 또는 보살까지 합하여 삼승(三乘)의 하나가 된다
보리(菩提) : 수행 결과 얻어지는 깨달음의 지혜와 과정
보리심(菩提心) : 위로는 보리(菩提)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敎化)하려는 마음
보시(布施) : 베푸는 일
분소의(糞掃衣) : 누더기 옷(장례 후 버려진 천으로 기워 지은 옷)
불과(佛果) : 불교의 과일.   , 불교 수행의 결과.
불이(不二 ) : 진리는 둘이 아니고 하나라는 진리로 모든 번뇌를 벗어난 참된 해탈을 의미.
불이문(不二門) : 참된 해탈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라는 의미에서 해탈문이라고도 한다.

사념처(四念處) : 소승불교에서 마음을 깨어있게 하는 네 가지 수행 방법.
사대보살(四大菩薩) : 문수보살(지혜), 보현보살(실천), 관세음보살(자비), 지장보살(중생구제)
사무량심(四無量心) : 부처님께서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 가지시는 마음. (자비희사 - 慈悲喜捨)
사무색정(四無色定) : 무색계에서 도를 닦는 공처정(空處定), 식처정(識處定),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의 禪定단계를 말함.
사분정근(四分精勤) :  하루에 네 번 정근을 한다. 기도 횟수를 나타냄
사선(四禪) : 욕계를 떠나 색계에서 도를 닦는 초선(初禪), 제이선(第二禪), 제삼선(第三禪),
제사선(第四禪)의 禪定의 네 단계를 이르는 말.
사선팔정(四禪八定) : 四禪과 四無色定의 8단계 禪定을 말함. 이에 멸진정(滅盡定)의 단계를 합하면
                     구차제정(九次第定)이라함
사성제(四聖諦) : 불교교리 중 인생문제와 그 해결방법에 관한 4가지의 가장 중요한 진리.
사식(四食) : 네가지 음식. 단식(段食) - 맛과 형체가 있는 음식.  촉식(觸食)즐거운 느낌이라는 음식
염식(念食)사량(思量)이라는 음식.  식식(識食)의식활동이라는 음식
☞ 세활식(細滑食) : 목욕이나 몸단장을 음식 삼음
사여의족(四如意足) : 삼십칠조도품 가운데 세 번째 수행도로서 이를 여의족(如意足)이라 하는 것은
이에 의해 쌓은 정력(定力)으로서 여러 가지의 신변(神變)을 나타내기 때문임.
여의(如意)는 뜻대로 자유자재한 신통의 뜻이다. 이 정()을 얻는 수단은 욕여의족,
정진여의족, 심여의족, 사유여의족의 네 가지로 이것은 각기 서원과 노력과
심념(心念) 관혜(觀慧)의 힘에 의하여 일어난 힘을 말한다.
사자후(獅子吼) : 사자가 울부짖는 소리라는 뜻으로, 부처님의 설법하시는 모습을 표현하는 말.
사자좌(獅子座) :  부처님이 앉으시는 자리.  흔히 부처님은 백수의 왕인 사자에 비유됨.
사참(事懺) :  마음, 생각으로 지은 죄.
사취() : 12연기 중 하나인 取에는 4취지가 있다. 욕취(欲取), 견취(見取), 계취(戒取), 아취(我取)
삼결(三結) :  중생을 얽매이게 하는 세가지 결박. , 오온, 몸에 대한 그릇된 견해(身見結),
그릇된 계율에 대한 집착(戒禁取結), 그리고 바른 도리와 진리에 대해 의심함(疑結).
     오하분결(五下分結) : 상기 삼결에 탐욕(貪結) 성냄(瞋結)을 합한 것임
삼념주(三念住) : 바른 마음에 머물어 흔들림이 없는 부처님의 마음을 이름. 중생들이 당신을 좋아해도,
 혹은 싫어해도, 혹은 좋고 싫어해도 전혀 기쁘거나 근심하지 않고 바른 생각에 머뭄.

삼독(三毒) :  (욕심). (성냄). (어리석음)  ☞ 法數 정리 참조 요망
삼매(三昧) : 불교 수행의 한 방법으로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 하여,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함.
삼법의(三法依 ): 가사에는 삼의(三衣)가 있다.  웃가사, 아랫기사, 두겹가사
삼법인(三法印) : 불교의 세 가지 근본 교의.       ☞ 法數 정리 참조 요망
삼연자비(三緣慈悲) : 세가지 인연의 자비.        ☞ 法數 정리 참조 요망
삼장(三藏) :  , , .         ☞ 法數 정리 참조 요망
삼악도(三惡道) : 나쁜 일을 지은 탓으로 장차 태어날 곳지옥(地獄) • 아귀(餓鬼) • 축생(畜生)
삼업(三業) : 몸과 입과 마음으로 짓는 선과 악의 모든 업을 말함. 신업(身業), 구업(口業), 의업(意業).
삼처전심(三處傳心) : 부처님께서 가섭존자에게 세 곳에서 마음을 전하심.  교외별전(敎外別傳)되었다는
근거가 되는 설(). 다자탑전분반좌(多子塔前分半座)영산회상거염화(靈山會上擧拈花)
니련하반곽시쌍부(泥連河畔槨示雙趺)를 말함.
삼십칠조도품(三十七助道品) : 열반을 성취하는데 도움이 되는 37가지 수행 방법
                  4념처(四念處) + 4정단(四正斷) + 4여의족(四如意足) + 5(五根) + 5(五力) +
                  7각지(七覺支) + 8정도(八正道)  =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삼학(三學) : 佛道 수행자가 반드시 닦아야 할 세 가지 근본 수행.  계학(戒學), 정학(定學), 혜학(慧學)
생천론(生天論) : 선 업의 결과로 천계에 태어나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는 뜻
서원(誓願) : 자기 마음속에 맹세하며 소원을 세움.
석문예법(釋門禮法) : 예불, 불공, 시식등 제반 불교의식 교법.
선근(善根) : 좋은 과보를 얻을 훌륭한 인(:직접적인 행위)
선원(禪院) : 참선수행을 하는 곳.
선정(禪定) : 마음을 적정(寂靜)히 하여 생각을 한 곳에 모아 산란치 않게 하는 것.
성문(聲聞) : 세존 당시 세존께서 출가한 제자들로, 부처님 말씀을 직접 듣고 수행 하는 자란 의미.
성문사과(聲聞四果) : 성문이 얻는 4가지 계보. 수다원과 사다함과 아나함과 - 아라한과 
선정(禪定)의 종류 : 사선(四禪) à 初禪, 第二禪, 第三禪, 第四禪
                 사무색정(四無色定) à 空處定, 識處定, 無所有處定, 非想非非想處定
                 멸진정(滅盡定)            9가지 선정을 구차제정 (九次第定)이라 함
수기(受記) : 과거의 부처로부터 다음에 부처가 된다는 예언.
수계(受戒) : 부처님의 제자가 되는 의식.
수월보살 : 물에 비친 보름달 같으신 관세음보살.
수인(手印) : 불상의 손모양으로 진리를 나타내는 것. ) 항마촉지인, 선정인, 시무외인, 지권인
시방(十方) : 항상 어디든 계신다는 뜻. 사방과 팔방 그리고 상과 하의 열 방향을 말함 (3차원 공간)
시자(侍者) : 스승을 모시는 제자.   
신견(身見) : 오견(五見)의 하나. 오온(五蘊)이 일시적으로 화합된 신체를 영원히 존재하는 나로 생각하고
 나에 따른 모든 것을 자신의 소유로 생각하는 그릇된 견해를 말함.
신행(信行) : 부처님 말씀을 열심히 배우고 자신의 삶 속에 소화 이해 실천하는 것.
심공급제(心功及第) : 과거 급제하듯 마음의 이치를 깨침.
심우도(尋牛圖) : 소를 찾는 그림.  소가 상징하는 것은 마음이다.
십력(十力) : 부처님만이 가지고 있는 10가지 지혜의 힘.
바른 도리와 그렇지 않은 도리를 판별하는 능력, 선악의 업과 그 과보를 아는 능력,
갖가지 선정의 단계와 특징을 아는 능력, 중생의 근기를 아는 능력, 중생의 갖가지 의욕과
소망을 아는 능력, 중생의 만유의 본성을 아는 능력, 중생이 업을 지어 그 결과 가게 되는
곳을 아는 능력, 중생의 전생을 아는 능력, 중생의 미래를 아는 능력, 모든 번뇌를 다 끊고
그 사실을 아는 능력.
십일면보살(十一面菩薩) : 다양한 얼굴로 현신하시는 관세음보살.
십팔불공법(十八不共法) : 부처님만이 지닌 18가지 공덕을 말함. 즉 몸으로 짓는 업에 허물이 없고. 입으로
 짓는 업에 허물이 없으며, 마음으로 짓는 업에 허물이 없는 등 18가지의 공덕이 있음.

댓글 없음:

댓글 쓰기